# 1. OS기술노트 # /proc/meminfo 내용 분석 방법 ### 소개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상태를 볼 수 있는 명령어와 각 항목에 설명을 기재해보려고 합니다. ### 명령어 실행 1. ##### 명령어 실행결과 확인 (free / meminfo) - free 결과 ```shell $> free -m total used free shared buff/cache available Mem: 15786 7716 583 632 7487 7102 Swap: 4095 516 3579 ``` - meminfo 파일 확인 ```shell $> cat /proc/meminfo MemTotal: 16165732 kB MemFree: 596400 kB MemAvailable: 7271976 kB Buffers: 11120 kB Cached: 7050372 kB SwapCached: 24948 kB Active: 8539812 kB Inactive: 5451740 kB Active(anon): 5466632 kB Inactive(anon): 2113380 kB Active(file): 3073180 kB Inactive(file): 3338360 kB Unevictable: 19572 kB Mlocked: 19572 kB SwapTotal: 4194300 kB SwapFree: 3665916 kB Dirty: 100 kB Writeback: 0 kB AnonPages: 6935760 kB Mapped: 117016 kB Shmem: 647612 kB Slab: 736736 kB SReclaimable: 605232 kB SUnreclaim: 131504 kB KernelStack: 9568 kB PageTables: 48308 kB NFS_Unstable: 0 kB Bounce: 0 kB WritebackTmp: 0 kB CommitLimit: 12277164 kB Committed_AS: 9486816 kB VmallocTotal: 34359738367 kB VmallocUsed: 303816 kB VmallocChunk: 34358947836 kB Percpu: 3008 kB HardwareCorrupted: 0 kB AnonHugePages: 1742848 kB CmaTotal: 0 kB CmaFree: 0 kB HugePages_Total: 0 HugePages_Free: 0 HugePages_Rsvd: 0 HugePages_Surp: 0 Hugepagesize: 2048 kB DirectMap4k: 96400 kB DirectMap2M: 6094848 kB DirectMap1G: 10485760 kB ```
**free** | **meminfo** |
Mem: total | Memtotal |
MEM: used | MemTotal - MemFree |
Mem: free | MemFree |
Mem: shared(의미없음) | 매칭값없음 |
Mem: buffers | Buffers |
mem: cached | cached |
-/+ buffers/cache: used (Centos 66이하만 출력) | MemTotal - (MemFree + Buffers + Cached) |
-/+ buffers/cache: free (Centos 66이하만 출력) | MemFree + Buffers + Cached |
Swap: total | SwapTotal |
Swap: used | SwapTotal - SwapFree |
Swap: free | SwapFree |
**필드값** | **설 명** | **출력OS** |
MemTotal | 사용가능한 총 메모리 | Centos5, 6, 7 |
MemFree |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물리적 메모리양 | Centos5, 6, 7 |
Buffers | 버퍼 캐시 메모리(디스크 블록의 임시저장위치) | Centos5, 6, 7 |
Cached | 페이지 캐시 메모리(디스크 캐시 및 공유메모리) | Centos5, 6, 7 |
Swapcached | 스왑파일시 사용하는 메모리(메인메모리에 존재) | Centos5, 6, 7 |
Memavailable | 새로운 app을 실행할때 스왑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(근사치) | Centos7이상 |
Active | 비교적 최근에 사용된 메모리로, 스왑아웃 혹은 회수할 수 없는 메모리 | Centos5, 6, 7 |
Inactive | 비교적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메모리로, 스왑아웃 또는 복구 할 수 있는 메모리 | Centos5, 6, 7 |
Active(anon) | 비교적 최근에 사용된 익명 메모리 | Centos 6, 7 |
Inactive(anon) | 비교적 사용되지 않고 스왑아웃할 수 있는 익명 메모리 | Centos 6, 7 |
Active(file) | 비교적 최근에 사용되고 필요할때까지 회수되지 않는 페이지 캐시 메모리 | Centos 6, 7 |
Inactive(file) | 성능에 영향주지 않고 회수할 수 있는 페이지 캐시 메모리 | Centos 6, 7 |
Unevictable | 시스템 운영상 스왑아웃할 수 없는 메모리 | Centos 6, 7 |
Mlock | 시스템 호출을 사용하게 메모리에 잠긴 페이지(Mlocked = Unevictable) | Centos 6, 7 |
SwapTotal | 사용가능한 총 스왑영역 | Centos5, 6, 7 |
SwapFree | 사용가능한 총 스왑영역 잔여공간 | Centos5, 6, 7 |
Dirty | 디스크에 다시 쓰여질때까지 기다리는 메모리 | Centos5, 6, 7 |
Writeback | 디스크에 쓰기가 진행되는 메모리 | Centos5, 6, 7 |
AnonPages | 사용자 공간 페이지에 매핑되어 있는 페이지 공간 | Centos5, 6, 7 |
Mapped | 시스템 라이브러리과 같은 파일 | Centos5, 6, 7 |
Slab | 커널 데이터 구조의 캐시 메모리 | Centos5, 6, 7 |
PageTables | 페이지 테이블에 사용되는 메모리 (많은 프로세스가 동일한 공유메모리 세그먼트에 연결되면 용량증가함) | Centos5, 6, 7 |
NFS\_Unstable | NFS서버로 전송은 되읐지만, 스토리지에 커밋되지 않는 페이지 | Centos5, 6, 7 |
Bounce | 블록장비 버퍼에 사용되는 메모리 | Centos5, 6, 7 |
CommitLimit | 커널 파라미터(vm.overcommit\_ratio)을 기반으로 시스템에서 확보할 수 있는 총 메모리량 해당 값이 2인 경우 유효 | Centos5, 6, 7 |
Committed\_AS | 현재 시스템에서 예약된 메모리 양 | Centos5, 6, 7 |
VmallocTotal | vmallokc 메모리 공간의 총 크기 | Centos5, 6, 7 |
VmallocUsed | vmalloc이 사용중인 공간 | Centos5, 6, 7 |
VmallocChunk | vmalloc영역의 최대 블록 | Centos5, 6, 7 |
HugePages\_Total | 커널 파라미터(vm.nr\_hugepages)에 의해 확보된 hugepage 수 | Centos5, 6, 7 |
HugePages\_Free | 프로세스에 의해 확보되지 않은 hugepage 수 | Centos5, 6, 7 |
HugePages\_Rsvd | 풀에서 확보되었지만 예약되어 있지 않은 hugepage수 | Centos5, 6, 7 |
Hugepagesize | hugepage크기(x86dms 일반적으로 2MB) | Centos5, 6, 7 |
Shmem | 사용중인 공유메모리 총 공간 | Centos 6, 7 |
SReclaimable | 회수 가능한 slab의 일부 (캐시) | Centos 6, 7 |
SUnreclaim | 메모리가 압박된 상태에서는 회수 할 수 없는 slab 영역 | Centos 6, 7 |
KernelStack | 커널이 사용중인 메모리 (회수 불가) | Centos 6, 7 |
WritebackTmp | FUSE가 버퍼로 사용중인 메모리 | Centos 6, 7 |
HardwareCorrupted | 손상되거나 작동되지 않을때 커널이 식별한 메모리 용량 | Centos 6, 7 |
AnonHugePages | 사용자 공간 페이지에 매핑된 파일이 없는 hugepage | Centos 6, 7 |
HugePages\_Surp | 커널파라미터(vm.nr\_hugepages)를 초과하는 hugepage수 hugepage수는 (vm.nr\_overcommit\_hugepage)값에 의해 제어 | Centos 6, 7 |
DirectMap4k | 표준 4k페이지에 매핑되는 메모리양 | Centos 6, 7 |
DirectMap2M | hugepage에 매핑되는 메모리 양(일반적으로 2M) | Centos 6, 7 |
**런레벨** | **용도** |
0 | 종료 |
1 | 싱글사용자 |
2 | 다중사용자 (multi-user.target) |
5 | 그래픽 환경 (graphic.target) |
6 | 재부팅 |
RHEL | 커널버전 |
---|---|
19.5 | 4.18.0-80 |
패키지명 | 버전 |
---|---|
gcc | 8.2 |
git | 2.18 |
subversion | 1.10 |
python | 3.6 |
MadiaDB (XtraDB Galera Cluster 내장) | 10.3 |
Mysql | 8.0 |
Nginx | 1.14 |
node.js | 10 |
openJDK | 8, 11 |
pacemaker | 2.0 |
Varnish | 6.0 |
출시일자 | 커널버전 |
---|---|
19.11 | 4.18.0-147 |
패키지명 | 버전정보 |
---|---|
php | 7.3 |
ruby | 2.6 |
Node.js | 12 |
nginx | 1.16 |
postgresql | 12 |
.NET Core | 3.1 |
virtio-win | |
tpm2-tools | 2.0 |
LLVM Toolset | 8.0.1 |
Rust Toolset | 1.37 |
GO Toolset | 1.12.8 |
드라이버 종류 | 모델명 |
---|---|
네트워크 | Serial line internal protocol 지원 |
네트워크 | Baosch C\_CAN 컨트롤러 플랫폼 버스 드라이버 |
네트워크 | Softing DPRAM / Serial line EMS / esd 가상 CAN 인터페이스 |
네트워크 | SJA1000 소켓 CAN드라이버 / PLX90XX PCI 드라이버 |
네트워크 | Intel 2.5G 이더넷 드라이버 |
네트워크 | Realtek 801 무선 PCI / Core 드라이버 |
네트워크 | MediaTek MT76XX 장치 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Virtual Kernel mode |
그래픽+기타 | Intel GTT 루틴 |
그래픽+기타 | Xen FrontEnd / BackEnd 페이지 디렉토리 기반 공유 버퍼 |
그래픽+기타 | 오디오 음소거 제어용 LED트리거 |
그래픽+기타 | 호스트 무선 어댑터 무선 제어 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네트워크 차단 장치 |
그래픽+기타 | Intel PCH 드라이버 |
드라이버 종류 | 업데이트 버전 |
---|---|
Intel Gigabit Ethernet | 5.6.0-k |
Cisco FCoE HBA | 1.6.0.47 |
HP Smart Array Controller | 3.4.20-170-RH3 |
Emulex LightPulse Fibre Channel SCSI | 0.12.2.0.3 |
LSI MPT Fusion SAS 3.0 | 28.100.00.00 |
VMware SVGA | 2.15.0.0 |
Broadcom MegaRAID SAS | 07.707.51.00-rc1 |
HPE Watcgdog | 2.0.2 |
출시일자 | 커널버전 |
---|---|
20.4 | 4.18.0-193 |
패키지명 | 버전정보 |
---|---|
python | 3.8 |
maven | 3.6 |
HotSopt JVM용 JMC | 7.1.1 |
rsyslog | 8.1911.0 |
audit | 3.0-0.14 |
sudo | 1.8.29-3.el8 |
firewalld | 0.8 |
nftables | 0.9.3 |
php | 7.3 |
GCC Toolset | 9 |
LLVM Toolset | 9.0.1 |
Rust Toolset | 1.41 |
GO Toolset | 1.13 |
grafana | 6.3 |
samba | 4.11.2 |
드라이버 종류 | 모델명 |
---|---|
네트워크 | gVNC드라이버 |
네트워크 | Broadcom UnuMAC MDIO버스 컨트롤러 |
네트워크 | iWARP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DRM VRAM메모리 관리 모두미 |
그래픽+기타 | stoppoll거버너용 cpuidle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Radeon RX5600 / RX5700 |
그래픽+기타 | Nvidia GTX 1650 / 1660 (TU 116 / 3D 가속지원 불가) |
그래픽+기타 | Matrox mgag2000 |
그래픽+기타 | ASPEED ast |
그래픽+기타 | Intel i915 |
그래픽+기타 | stm\_ftrace / console / core / dummy / heartbeart 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인텔 Tracking hub관련 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Device DAX 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PMEM DAX 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Intel RAPL 코드 |
스토리지 | MD cluster |
드라이버 종류 | 업데이트 버전 |
---|---|
VMware vmxnet3 | 1.4.17.0-k |
Intel 10G virtual | 4.1.0-k-rh8 |
Intel 10G PC-E | 5.1.0-k-rh8 |
Intel Ethernet E800 시리즈 | 0.8.1-k |
NFP 드라이버 | 4.18.0-185 |
Elastic Network Adapter | 2.1.0k |
HPE watchdog | 2.0.3 |
Intel I/OAT DMA | 5.0.0 |
Emulex LightPulse Fibre Channel SCSI | 0.12.6.0.2 |
LSI MPT Fusion SAS 3.0 | 32.100.00.00 |
HP Smart Array Controller | 3.4.20-170-RH4 |
QLosic Fibre HBA | 10.01.00.21.08.2-k |
QLogic FastLinQ 4xxx FCoE | 8.42.3.0 |
QLogic FastLinQ 4xxx ISCSI | 8.37.0.20 |
Broadcom MegaRAID SAS | 07.710.50.00-rc1 |
출시일자 | 커널버전 |
---|---|
20.11 | 4.18.0-240 |
패키지명 | 버전정보 |
---|---|
tuning | 2.13 |
nginx | 1.18 |
node.js | 14 |
perl | 5.30 |
php | 7.4 |
ruby | 2.7 |
git | 2.27 |
Squid | 4.11 |
GCC Toolset | 10 |
LLVM Toolset | 10.0.1 |
Rust Toolset | 1.45.2 |
GO Toolset | 1.14.7 |
OpenJDK | 11 |
Podman | 2.1 |
Buildah | 1.19 |
SKopeo | 1.2.1 |
memcached | 1.5.22 |
libssh-lib | 0.9.4 |
NetworkManager | 1.26.0 |
pacemaker | 2.0.4 |
grafana | 6.7.3 |
samba | 4.12.3 |
Cockpit | 4 |
TigerVNC | 1.10.1 |
드라이버 종류 | 모델명 |
---|---|
네트워크 | Mellanox ConnectX-6 |
네트워크 | Kvaser CAN/USB 용 CAN드라이버 |
네트워크 | Theobroma System UCAN 드라이버 |
네트워크 | Pensando NIC 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원격 프로세서 프레임 워크 |
그래픽+기타 | Intel 340x 드라이버 |
그래픽+기타 | Radeon RX5300 |
그래픽+기타 | Rizen3 4300U / 4500U / 4600U(H) / 4700U / 4800U(H) |
그래픽+기타 | AMD 애슬론 실버 3050U / 골드 3150U / Rizen3 3250U |
그래픽+기타 | Intel Tiger Lake GPU |
그래픽+기타 | virtio 장치용 vDPA드라이버 |
드라이버 종류 | 업데이트 버전 |
---|---|
megaraid\_sas | 07.713.01.00-RC1 |
VMware vmxnet3 | 1.5.0.0-k |
Realtek RTL8152/8153 USB드라이버 | 1.09.10 |
Broadcom BCM573XX | 1.10.1 |
인텔 이더넷 스위치 호스트 | 0.27.1-ㅏ |
인텔 이더넷 E800 시리즈 | 0.8.2-ㅏ |
Emulex LightPulse Fibre Channel SCSI | 0.12.8.0.1 |
LSI MPT Fusion SAS 3.0 | 34.100.00.00 |
HP Smart Array Controller | 3.4.20-170-RH5 |
QLosic Fibre HBA | 10.01.00.25.08.3-k |
Broadcom MegaRAID SAS | 07.714.04.00-rh1 |
VMware SVGA | 2.17.0.0 |
출시일자 | 커널버전 |
---|---|
21.4 | 4.18.0-305 |
패키지명 | 버전정보 |
---|---|
python | 3.9 |
swig | 4.0 |
subversion | 1.14 |
redis | 6 |
postgresSQL | 13 |
Mariadb | 10.5 |
GCC Toolset | 10 |
LLVM Toolset | 11.0.0 |
Rust Toolset | 1.49.0 |
GO Toolset | 1.15.7 |
OpenJDK | 11 |
kabi\_whitlist | kabi\_stablelist |
드라이버 종류 | 모델명 |
---|---|
네트워크 | Realtek 802.11ac (8822\*) |
네트워크 | Interface for UDP Encapsulated traffic |
그래픽 + 기타 | Regmap SoundWire |
그래픽 + 기타 | Intel Quick Assist / Data Accelerator |
그래픽 + 기타 | Oracle VM VirtualBox Graphics |
그래픽 + 기타 | AMD Energy repotring |
그래픽 + 기타 | Elastic Fabric Adapter |
그래픽 + 기타 | AMD PIC-E Non-Transparent Bridge |
그래픽 + 기타 | PCIe NTPB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/ Simple Pingpong Client / Debugging Tool) |
그래픽 + 기타 | Software Queue-Pair Trsnport over NTB |
그래픽 + 기타 | Intel Elkhart Lake PHC pinctrl/GPIO Driver |
그래픽 + 기타 | Dell platform setting Control interface |
드라이버 종류 | 업데이트 버전 |
---|---|
VMware SVGA drm | 2.18.0.0 |
Cisco FCoE HBA | 1.6.0.53 |
HP Smart Array Controller | 3.4.20-220-RH1 |
Emulex LightPulse Fibre Channel SCSI | 0.12.8.0.5 |
LSI MPT Fusion SAS 3.0 | 35.101.00.00 |
QLosic Fibre HBA | 10.02.00.104-k |
HPE Watcgdig | 2.0.4 |
출시일자 | 커널버전 |
---|---|
21.11 | 4.18.0-348 |
패키지명 | 버전정보 |
---|---|
Ruby | 3.0 |
nginx | 1.20 |
Node.js | 16 |
php | 7.4.19 |
squid | 4.15 |
rsyslog | 8.2102.0-5 |
OpenJDK11 | 11.0.13 |
OpenJDK8 | 8.0.312 |
chrony | 4.1 |
NetworkManager | 1.32.10 |
Cmake | 3.20.2 |
Gcc | 11.2 |
podman | 3,3,1 |
드라이버 종류 | 모델명 |
---|---|
네트워크 | SYNOPSYS DESIGNWARE Ethernet XPCS |
네트워크 | INTEL 10/100/1000 이더넷 PCI |
네트워크 | STMMAC 10/100/1000 Ethernet |
네트워크 | Chelsio 종료 카드의 암호화 IPSEC |
네트워크 | Chelsio NIC TLSD 드라이버 |
네트워크 | Microsoft Azure Network Adapter |
네트워크 | Qualcomm Atheros 802.11ax 무선 LAN 카드를 위한 코어 모듈 |
네트워크 | Qualcomm Technologies 802.11ax WLAN PCIe |
네트워크 | MAC ~ 선택 PY 연결 |
그래픽 + 기타 | In-Band ECC를 사용하는 Intel 클라이언트 SoC 용 MC |
그래픽 + 기타 | RegmapPodWire MBQ 모듈 |
그래픽 + 기타 | Intel 플랫폼 모니터링 기술 PMT 드라이버 |
그래픽 + 기타 | Intel PMT Crashlog 드라이버 |
그래픽 + 기타 | sysfs 시스템용 sysfs 구조 |
그래픽 + 기타 | Intel PMT Telemetry Driver |
그래픽 + 기타 | Intel PMT 클래스 Driver |
그래픽 + 기타 | AMD PMC Driver |
그래픽 + 기타 | MHI 호스트 인터페이스 |
그래픽 + 기타 | MHI(Modem Host Interface) PCI 컨트롤러 Driver |
그래픽 + 기타 | 블록 장치에 대한 vDPA 장치 시뮬레이션 |
그래픽 + 기타 | 네트워킹 장치에 대한 vDPA 장치 시뮬레이터 |
그래픽 + 기타 | Mellanox VDPA 드라이버 |
그래픽 + 기타 | 기본 STM framing 프로토콜 |
그래픽 + 기타 | MIPI SyS-T STM framing protocol driver |
그래픽 + 기타 | QMI 인코딩/디코더 도우미 |
그래픽 + 기타 | ACPI DPTF 플랫폼 전원 드라이버 |
그래픽 + 기타 | ACPI 플랫폼 프로파일 sysfs 인터페이스 |
그래픽 + 기타 | Intel Emmitsburg PCH pinctrl/GPIO 드라이버 |
그래픽 + 기타 | Intel Alder Lake PCH pinctrl/GPIO 드라이버 |
그래픽 + 기타 | MPI3 스토리지 컨트롤러 장치 드라이버 |
그래픽 + 기타 | 장치 매퍼 측정 서비스 |
드라이버 종류 | 업데이트 버전 |
---|---|
Mellanox 5세대 네트워크 어댑터 | 18.0-348 |
Realtek RTL8152/RTL8153 기반 USB 이더넷 어댑터 | 1.11.11 |
LSI MPT Fusion SAS 3.0 장치 드라이버 | 37.101.00.00 |
Emulex LightPulse Fibre Channel SCSI 드라이버 | 0:12.8.0.10 |
Qlogic 파이버 채널 HBA 드라이버 | 10.02.00.106-k |
Microsemi Smart Family Controller | 2.1.8-045 |
Broadcom RAID SAS Driver | 07.717.02.00-rh1 |
출시일자 | 커널버전 |
---|---|
22.05 | 4.18.0-372 |
패키지명 | 버전정보 |
---|---|
php | 8.0 |
perl | 5.32 |
GCC Toolset | 11 |
LLVM toolset | 13.0.1 |
java | java-1.8.0 java-11 java-17 |
bind | 9.16 |
audit | 3.0.7 |
pcp | 5.3.5 |
grafana | 7.5.11 |
grafana-pcp | 3.2.0 |
container-tools | 4.0 |
RHEL6 (x86_64) | RHEL7 | RHEL8 | |
---|---|---|---|
cpu (core / Thread) | 448 | 768 | 768 |
최대 지원 메모리 | 12TB | 12TB (7.2이상) | 24TB |
최소 요구 메모리 | 1GB(cpu당 1GB필요) | 1GB(cpu당 1GB필요) | 1.5GB(cpu당 1.5GB필요) |
RHEL6 (x86_64) | RHEL7 | RHEL8 | |
---|---|---|---|
최소 디스크 용량 | 1GB | 10GB | 10G |
권장 디스크 용량 | 5GB | 20GB | 20G |
RHEL6 (x86_64) | RHEL7 | RHEL8 | |
---|---|---|---|
최대 파일크기 | 2TB | 2TB | 2TB |
최대 파일시스템 크기 | 16TB | 16TB | 16TB |
최대 생성 디렉토리 수 | 32000 | 32000 | 32000 |
최대 심볼릭링크 크기 | 8 | 8 | 8 |
RHEL6 (x86_64) | RHEL7 | RHEL8 | |
---|---|---|---|
최대 파일크기 | 16TB | 16TB | 16TB |
최대 파일시스템 크기 | 50TB | 50TB | 50TB |
최대 생성 디렉토리 수 | 65000 | 65000 | 65000 |
최대 심볼릭링크 크기 | 8 | 8 | 8 |
RHEL6 (x86_64) | RHEL7 | RHEL8 | |
---|---|---|---|
최대 파일크기 | 100TB | 500TB | 8EB |
최대 파일시스템 크기 | 300TB | 500TB | 1PB |
최대 생성 디렉토리 수 | 무제한 | 무제한 | 무제한 |
최대 심볼릭링크 크기 | 8 | 8 | 8 |
RHEL6 (x86_64) | RHEL7 | RHEL8 | |
---|---|---|---|
BIOS | 2TB | 2TB | 2TB |
UEFI | 16TB | 50TB | 8EB |
RHEL6 (x86_64) | RHEL7 | RHEL8 | |
---|---|---|---|
커널버전 | 2.6.32 ~ 2.6.34 | 3.1 | 4.18 |
GCC | 4.4 | 4.8.2 | 8.2.1 |
Graphic | X.org 7.4 | X.org 7.7 | Wayland 1.15 |
**모드** | **방 식** |
0 | - Balance-Round robin - 설정된 모든 NIC가 활성화가 되어 NIC별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- 장점 : 모든 NIC의 대역폭을 합산하기 때문에 높은 대역폭을 유지, - 단점 : NIC의 link상태를 고려하는 방식은 없기 때문에 특정 NIC의 링크가 끊어진 경우 패킷손실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|
1 | - Active-Standby - 하나의 NIC가 활성화, 나머지는 Standby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- 장점 : 높은 고가용성을 보장 - 단점 : 하나의 NIC만 활성화가 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대역폭이 증가하진 않습니다. |
2 | - balance-xor - 기본적인 데이터 전송은 Bonding mode 0과 비슷하지만 xor연산을 이용해 특정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링크에 분산시키는 방식 - bonding mode 0과 동일한 장/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. |
3 | - broadcast - 모든 트래픽을 모든 NIC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. - 장점 : 특정 NIC가 Down되어도 활성화된 NIC에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고가용성 보장 - 단점 : 동일한 데이터의 중복전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높은 네트워크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4 | - 802.3ad, LACP(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)를 사용하여 NIC를 묶고, 트래픽을 분산합니다. - 장점 : 높은 고가용성을 제공하여, 링크상태를 감지하여 조절합니다. - 단점 : LACP를 지원하는 Switch장비가 필요합니다. (Switch장비에서 논리적으로 Group으로 구성이 필요합니다) |
![]() |
- Bonding Mode 1(Active / Standby)로 구성 - Active NIC : eth0, Standby NIC : eth1, Bond NIC : bond0 |
**스케쥴정보** | **설명** | **비고** |
---|---|---|
none | FIFO(선입선출) 스케쥴링 | |
mq-deadline | 대기중인 I/O요청을 읽기 / 쓰기로 배치로 정렬 후 스케줄러에 도달하는 시점의 요청에 대해 처리 읽기 작업은 쓰기 작업보다 우선(어플리케이션에서 읽기가 지연될 경우 차단될 가능성이 높음) | 대부분 적합하나, 쓰기 작업은 비동기식으로 사용 |
bfq | 단일 어플리케이션이 모든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, 스토리지는 항상 유휴상태인ㄱ덧처럼 반응, 가장 낮은 대기 시간을 전달하는게 목표 | 대용량 파일을 복사하는데 적합하고, 시스템이 응답하지 않을 수 있음 |
kyber | 모든 I/O요청 대기시간을 계산해서 각 대기시간 목표를 달성하도록 자체조정 | NVMe, SSD는 IOPS가 높은 스토리지에 적합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rcDimage.png)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24Eimage.png)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6USimage.png)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3xdimage.png)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Zznimage.png)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2023-05-24-03-25-25.png)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6HZimage.png)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jJDimage.png)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jWVimage.png) |
[](http://igoni.kr/uploads/images/gallery/2023-05/jbkimage.png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