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2- Ansible 기본구조
1. Redhat기준으로 Ansible 구성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.
컴포넌트명 | 비 용 | OSS Project |
Ansible Core | Free | Ansible [https://github.com/ansible/ansible](https://web.archive.org/web/20210418122625/https://github.com/ansible/ansible) |
Ansible Tower | Commercial | AWX [https://github.com/ansible/awx](https://web.archive.org/web/20210418122625/https://github.com/ansible/awx) |
2. Ansible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하면...
**구성정보** | **용 도** |
inventory | 배포 대상 정보가 기록된 정보 |
playbook
– role
– task
– template
– vars | 배포시 사용하는 배포코드
– 여러가지 배포업무가 수행될때 나눌 수 있는 리스트
– 배포 업무 수행
– 설정파일같은 템플릿화된 파일을 배포시 사용
– 배포코드 작성시 등록한 변수리스트 |
3. 프로비저닝 대상서버 접근 방식
**Target OS** | **접근방식 / 기본포트** | **추가 설명** |
Windows | WinRM / tcp/5986 | Windows장비가 winrm 접근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어야 함
Windows7 이상부터 사용가능 |
Linux / Switch | ssh / tcp/22 | Telnet은 지원하지 않음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