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main content

ELK Stack 소개

ELK Stack?

  • 각 서버에 저장된 로그성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서 시각화 하는 Opensource
  • Elasticsearch / Logstash / Kibana를 줄여 ELK라고 명칭하고 있었고, fileBeat가 추가되면서 ELK Stack으로 명칭.

Component별 역활

  • filebeat : 시스템에 기록된 로그데이터를 logstash로 보내기 위한 역활
    (logstash보다 경량화되었고, 로그데이터가 json으로 파싱되어 있는 경우 logstash를 거치지 않고 elasticsearch바로 전송할 수 있다 함)
  • Logstash : filebeat에서 받은 로그, 시스템에 기록된 로그데이터를 Elasticsearch로 보내는 역활
  • Elasticsearch : logstash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DB화 수행
  • Kibana : Elasticsearch에서 정제된 데이터를 시각화 수행

하드웨어 요구사항

Component
Hardware
설  명
비   고
Elasticsearchcpu8 Core
Elasticsearchmem

최소 : 16GB

권장 : 64GB 이상 

8GB 이하에서 사용시 작동오류 발생할 수 있음
Elasticsearchdisk

SSD 사용

* ssd에서는 io스케쥴러는 deadline대신 noop으로 변경

cfq : r/r, deadline : 10초, noop : 
* ATA디스크를 사용해야 할 경우 15K rpm 디스크 사용
* NAS에 데이터 저장은 비권장

Kibanacpu8 Core
Kibanamem최소 1GB
권장 : 4GB 이상

Kibanadisk제약없음
Logstashcpu2Core
Logstashmem2GB 
Logstashdisk제약없음 

* Elasticsearch에서 사용할 디스크 용량 계산 방법
   (예상 로그양 * 보관일 ) * 데이터 노드수가 기본적인 용량 계산방법

ELK Data Flow

  1. Node에 설치되는 filebeat대신에 logstash를 설치해서 ElasticSearch로 바로 전송할수 있음.

  2. filebeat / logstash의 RSS메모리 사용량 비교

    • 로그 데이터는 초당 1Mbyte씩 전송할수 있게 로그파일 생성, 총 100초동안 초단위로 수집 진행

      image-1657903049814.png

Elasticsearch 구성

  • Elasticsearch 노드 종류
    • master node : Elasticsearch의 인덱스 메타데이터, 샤드, 클러스터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역활.. 서버 수량이 많을때 모든 노드가 master역활을 수행할 경우
      성능상 부담이 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10대이상 구성될 경우 master/data 노드 분리해서 운영하는것이  best practice
    • data node :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노드
  • Cluster기반의 통신정책
    • 클라이언트와 Elasticsearch와의 통신을 위한 포트 : tcp/9200
    • Elasticsearch노드간의 통신을 위한 포트 : tcp/9300
  • 용어 확인 / 비교

image-1657902592796.png

 

DBMS (like, mysql)
Elasticsearch
databaseindex
tabletype
rowdocument
columnfield
schemamapping
indexindex
sqlQuery DSL
selectGET (Rest API사용)
updatePUT (Rest API사용)
insertPOST (Rest API사용)
deleteDELETE (Rest API사용)

 

Index 수명주기에 따른 노드 관리 : 6.7이후부터 공식릴리즈에 포함된 기능

  • hot : 가장많이 검색되는 인덱스
  • warm : 검색되긴하지만, 자주 검색되지 않은 인덱스
  • cold : 자주 검색되지 않으나, 만약을 위해 유지하는 인덱스

Index 관리 규칙

  • Create :  인덱스 생성
  • close : 인덱스는 유지하되, write는 불가
  • delete : 인덱스 삭제

Index 상태 확인

  • green : 샤드, 리플리케이션 모두 정상인 상태
  • yellow : 일부 인덱스가 비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
  • red : 모든 인덱스의 샤드가 비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, 인덱스 데이터의 read/write가 불가능

데이터  관리방안 (인덱스 생성시 정해야 하고,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re-index 작업해야 반영됨)

  • shard : 
    • Document를 노드단위로 분산저장하는 방식 (7.x부터는 Default가 1로 설정, 6.x 이하는 Default가 5)
    •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분산 검색도 수행함. shard의 갯수가 증가할수록 쿼리 속도도 증가(분산 쿼리)
  • replica : 
    • Primary shard(원본데이터)갯수만큼 복제
      shard(2개), replica(1개)로 구성한 경우 2x1 = 2개의 replica가 생성, replica의 데이터는 primary shard가 없는 노드에 각각 저장
    • node = 3, shard = 2, replica = 1로 구성된 경우 노드별 데이터 저장 방식